지구온난화, 환경 오염, 기후 변화에 대한 심각성은 이제는 누구나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부분이다. 기업들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심각성을 인지하여 이전과 달리 제품의 생산 과정, 유통, 마케팅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친환경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친환경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마케팅 활동도 점점 변화하고 있다. 예전엔 ‘재활용을 통해 환경 보호에 동참하세요’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그쳤다면 이제는 기업이 직접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 속으로 녹아 들어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활동을 소개, 참여를 권장하고 있다.
네파의 레인트리 캠페인은 친환경 도시 만들기 프로젝트라는 이름 아래 일회용 비닐 우산 커버를 재사용이 가능한 자투리 방수 원단으로 만든 네파의 우산 커버로 대체하자는 캠페인으로 시작했다. 올해로 3번째 시즌을 맞이한 이 캠페인은 초반에는 특정 장소에 레인트리 커버를 건조, 보관할 수 있는 나무 모양의 레인트리를 세워 소비자들에게 캠페인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올해는 더욱 발전해 일기예보와 캠페인을 연계해 재미 요소를 더했다. 일기예보를 컨셉으로 한 콘텐츠, 비와 연계된 이벤트, 비가 오는 날 설치된 레인트리 인증샷 이벤트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콘텐츠들을 구성해 소비자들이 보다 쉽고 흥미롭게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또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텀블러, 에코백 등과 레인트리 커버가 담긴 특별한 레인트리 굿즈까지 제작해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캠페인에 참여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친환경 활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빙그레는 바나나맛우유 친환경 캠페인 ‘지구를 지켜 바나나’의 오프라인 활동으로 ‘단지 세탁소’를 지난 7월 오픈했다. 단지 세탁소는 재활용 할 수 있는 용기들이 내용물에 오염돼 재활용률이 떨어진다는 데서 착안, 이를 씻어서 분리배출하자는 메시지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이번 캠페인은 한국은 재활용 분리배출 비율이 높은 국가지만 제대로 분리배출이 되지 않아 실제 재활용 되는 비율이 아직 낮아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방법을 전달하고 있다. 바나나맛우유는 소셜 채널을 통해 바나나맛우유의 용기와 뚜껑의 소재가 달라 뚜껑이 붙은 상태로 배출할 경우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뚜껑을 제거하고 분리배출해야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내용의 캠페인 또한 진행한 바 있다.
마케팅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과 유통에서부터 친환경적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기업들도 눈에 띈다. 소비자들로 하여금 착한 소비가 가능하게 하여 죄책감을 덜어주고 개념있는 소비자로 인식될 수 있도록 도와줘 관심을 받고 있다.
제주삼다수는 제주에서 배출된 페트병을 재생섬유로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패션 아이템, 플리츠마마 제주 에디션을 출시했다. 이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와 제주도, 효성TNC, 플리츠마마가 함께 진행 중인 ‘다시 태어나기 위한, 되돌림! 제주 지역자원 순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제품으로 국내에서 수거된 페트병이 상품으로 출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제주개발공사가 수거한 페트병을 효성TNC에 공급하면, 효성은 이를 고급 장섬유로 재탄생시키고, 친환경 패션 스타트업인 플리츠마마는 이를 활용해 친환경 가방을 제작한다.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각광받고 있다.
현대홈쇼핑은 비닐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100% 종이 소재의 친환경 배송 박스 핑거박스를 도입했다. 핑거박스는 일체의 접착제 사용 없이 밀봉할 수 있는 100% 종이 소재의 박스로, 종이 접기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배송 상품을 박스 안에 넣은 뒤 입구에 해당하는 면을 접어 넣으면 종이가 서로 맞물려 닫힌다. 상품을 꺼낼 때는 겉면에 표시된 절취선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양쪽으로 잡아 당기면 배송 박스를 쉽게 뜯을 수 있다. 앞서 현대홈쇼핑은 지난해 비닐 테이프 대신 친환경 소재 접착제를 사용한 날개박스를 업계 최초로 도입한 바 있다.
동아제약은 제품 홍보를 위해 약국마다 무료로 공급하던 박카스 비닐봉투를 하반기부터 종이봉투로 바꿀 계획이라 밝혔다. 대부분 지역의 약국을 매일 찾아다니는 박카스 영업사원들이 제품 홍보와 더불어 약국과의 유대관계 강화 차원에서 비닐봉투를 무상으로 공급했고, 1991년 6월 첫 등장 이후 30년 가까이 이어오면서 ‘약국 비닐봉투=박카스’ 공식을 만들어냈다. 동아제약은 환경 보호 캠페인을 시작하는 등 사회적 가치를 우선하기로 하며 비닐 봉투를 종이 봉투로 전면 교체할 계획이다.
아웃도어 브랜드 K2도 2020 F/W 시즌을 맞아 친환경 제품군 확대 및 플리스, 숏패딩 등 아우터 제품 강화를 통해 젊은 고객층 공략에 나선다.
K2는 소재 다변화 및 고급화, 논퀼팅 및 푸퍼 등 겨울 다운 스타일을 다각화하고, FW 필수 아이템으로 부상한 플리스 제품군을 소재, 길이, 실루엣 등으로 구성을 세분화해 대거 출시한다. 이와 함께 혁신적인 다운 압축 기술을 적용해 다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는 ‘씬에어 다운’을 주력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이 밖에도 아웃도어 활동을 위한 테크 라인에서는 가벼운 하이킹을 즐길 수 있는 하이크 제품군을 강화하고, 여성 고객 공략을 위한 ‘FIT U’ 시리즈를 선보인다.
또한 이번 시즌에는 리사이클 소재를 티셔츠, 플리스, 다운 등 의류 뿐 아니라 용품군에도 적용하는 등 친환경 제품군을 확대한다. 특히, SS시즌에 출시한 친환경 제품군 ‘블루트리’ 라인을 전체 제품의 2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주력 제품인 ‘비숑 리버시블 다운’은 친환경 리사이클 플리스 소재를 적용한 제품으로 플리스와 다운 양면으로 되어 있어 두 가지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K2 상품기획팀 이양엽 부장은 "친환경 제품 확대와 함께 트렌디한 숏패딩 및 플리스 제품을 다양하게 기획하여 2030 젊은 고객층을 공략해 나갈 계획”이라며 “새로운 기술력과 스타일을 도입한 신제품을 통해 한층 달라진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파타고니아(patagonia)가 지구 환경을 되살리기 위한 유기농 표준 ‘재생 유기농 인증(Regenerative Organic Certification)’ 개발에 참여했다. 재생 유기 농법은 화학 약품으로 생산성을 늘리는 대신 간작(한 농작물을 심은 이랑 사이에 다른 농작물을 심어 가꾸는 일)이나 퇴비를 사용하고,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땅으로 흡수시켜 지구온난화 해결에 도움을 주는 방식이다.
지난 2018년 파타고니아는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재생 유기 농법에 주목하며 ‘재생 유기농 연대(Regenerative Organic Alliance, ROA)’를 조직했다. 이후 더 나은 농업으로 밝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높은 수준의 유기농 표준 ‘재생 유기농 인증’을 개발하고 시범 사업 단계를 거쳐 일반 인증으로 전환하는 성과를 달성했으며, 재생 유기농 인증 제품으로 ‘재생 유기농 면(Regenerative Organic Cotton, ROC) 콜렉션’을 출시한다.
캐나다 슈즈 브랜드 네이티브(Native)는 물속에서 자라는 조류(藻類)로 만든 친환경 신발 ‘제퍼슨 블룸’을 선보였다. 이 신발에 사용된 소재는 충격에서 발을 보호하는 폼타임의 소재로 미국에서 조류(藻類)를 수집하고 가공하는 기업 ‘블룸(Bloom)’과 협업하여 제작했다. 일반적인 신발 생산 과정과는 달리 제퍼슨 블룸은 한 켤레당 80L의 물을 정화하고, 풍선 15개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수중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조류를 감소시키면서도, 100% 재활용까지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일석이조의 친환경 제품이다. 또한, 네이티브는 수명이 다한 신발에서 플라스틱 소재를 추출하여 의자나 놀이터 바닥 쿠션을 만드는 ‘더 리믹스 프로젝트(The Remix Project)'를 시행하고 있다.
나이키(NIKE)가 업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Re;code)와 함께 패션의 재해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리는 ‘래코드 바이 나이키(Re;code by Nike)’를 공개했다.
래코드 바이 나이키는 래코드가 속한 코오롱 그룹의 의류 재고를 활용해 새로운 패션 아이템으로 재창조하고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해체와 재구성’이라는 콘셉트 아래 래코드의 디자인적 관점과 나이키의 도전적인 시도를 더해 톱, 점퍼, 스커트, 바지 등 다양한 제품을 새로운 실루엣으로 탄생시켰다.
100% 의류 재고로 만들어진 이번 래코드 바이 나이키는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의식을 수용하면서도 스포티 스타일과 편안함을 모두 갖춘 것이 특징이다. 화이트와 블랙, 카키 그리고 유니크한 네온 컬러 패치가 어우러져 독특한 컬러감을 선사한다.
나이키는 스포츠의 미래에 가장 큰 환경적 위협이 되는 기후 변화에 맞서 탄소 배출과 폐기물 없는 미래를 위해 ‘Move to Zero’를 내걸고 다양한 노력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에 대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편집부 gio@fashiongio.com
< 저작권자 © 패션지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